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산사태 우려 산불피해지역, 내달 중순 전까지 응급 복구 완료

산림청,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영남 산불지역 279곳 최우선 복구
산불재난특수진화대 투입…민간조력자·주민 등까지 확대해 맞춤교육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산림청은 14일 산사태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2025년 산사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산사태 방지 대책은 ▲올해 영남지역 대형산불 피해지 집중관리 ▲위험정보 제공방식 개선을 통한 사전대피 강화 ▲장마철 등 위험시기 총력대응 ▲수요자 맞춤형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 등에 중점을 둔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이 14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올해 여름철 산사태 방지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미라 산림청 차장이 14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올해 여름철 산사태 방지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산림청은 우선, 초대형 산불이 발생한 영남 산불피해 지역을 집중 관리한다.

산불 피해 상황을 반영해 산사태 위험등급과 피해 영향 범위를 긴급조정하고 산사태정보시스템에 탑재했으며,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대피소, 임시주거시설의 안전성 여부, 대피경로 등 대피체계를 선제적으로 정비했다.

산불피해 지역에 대한 산사태 예측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 과거 대형산불 사례 분석 등으로 산사태 발생위험을 1~48시간 전에 예측해 주는 예측모델도 긴급 조정해 위험정보가 누락되지 않도록 했다.

산불피해 지역 중 민가로부터 100미터 이내에 있는 지역 등 2차 피해 우려가 있는 6466곳에 대해 긴급 진단해 복구 필요 대상지 615곳을 선정했으며 우선순위에 따라 복구할 계획이다.

그중 2차 피해 우려가 상대적으로 높은 279곳 대해서는 다음 달 15일 이전에 최우선으로 응급복구를 마칠 계획이다.

산림청은 이어서,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산사태 발생 위험 예측정보의 제공 대상을 급경사지(행정안전부), 도로비탈면(국토교통부) 등 위험사면을 관리하고 있는 관계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총괄부서까지 확대해(229개 부서 추가) 재난대응 연계체계를 강화했다.

아울러, 제공방식을 기존 문자메시지에서 알림톡으로 전환해 데이터 처리능력을 향상해 더욱 신속하게 위험정보가 제공돼 선제적인 주민대피가 될 수 있도록 했다.

산림청은 또한, 위험시기 재난관리자원을 총동원해 총력대응체계를 가동한다.

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여름철 주민대피, 응급조치 등 산사태 대응에 투입해 현장대응을 강화하고, 신속한 주민대피를 위해 '지방자치단체-경찰-소방-대피조력자' 등이 협업한다.

위험지역 응급복구, 임시주거시설 제공 등을 위해 산림조합, 한국산림복지진흥원 등 유관기관의 장비와 숙소 등을 총동원한다.

더불어, 지방자치단체-지역산림조합 등 간 재난관리자원 응원 업무협약을 적극 유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산사태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수요자 맞춤형 교육·홍보를 강화한다.

교육 대상을 공무원에서 민간조력자, 마을주민과 어린이·청소년 등 일반국민까지 확대한다.

이·통장 등 민간조력자 교육을 위해 이·통장협의회, 주민자치회를 적극 활용하고, 어린이·청소년을 위한 팝업퍼즐·워크북 등 산사태안전교육 교재를 다음 달까지 개발하는 한편, 학교 등 찾아가는 산사태 예방교육도 3월부터 9월까지 실시한다.

이 밖에, 사방댐 대상지 공모로 주민이 직접 산사태 예방을 위한 사방댐 대상지를 신청할 수 있도록 했다. 8월 29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산림청 누리집(https://www.fores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불피해지역의 추가 피해가 없도록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히면서 "태풍·집중호우 등 위험시기에 긴급재난 알림을 받으면 주저 없이 대피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의: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 산사태방지과(042-481-4033)

하단 배너 영역

/
함께하는 국민안전 더 나은 대한민국 2025 집중안전점검 정책포커스 바로가기